넷플릭스나 쿠팡 와우뿐만 아니라 MS 오피스, 어도비 포토샵과 같은 소프트웨어까지 최근 많은 서비스가 단품 판매가 아닌 월 구독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구독형 서비스(사이트, 앱 등)는 해지 버튼을 숨겨놓거나 해지 절차를 복잡하게 만들어 해지를 어렵게 하거나, 무료 체험 후 자동으로 유료 결제가 이루어져 원치 않는 비용을 추가로 지불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기법들은 다크 넛지(Dark Nudge) 또는 다크 패턴(dark pattern)이라고 불린다.)
대부분의 구독 서비스는 무료 체험하거나 한 달(또는 30일)만 구독하는 경우에도 결제 수단을 등록해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료 체험만 하거나 1개월만 구독을 원하는 경우 다음 방법을 사용하면 해지를 깜빡 잊어 자동 결제가 되거나 복잡한 해지 절차를 밟을 필요 없이 자동으로 구독을 해지할 수 있다.
✅ 구독 서비스 자동 해지하는 가장 쉬운 방법
잔액이 없는 은행 계좌와 해당 계좌에 연결된 체크카드가 필요하다.
사용하지 않는 계좌를 활용해도 되고 주계좌 외에 다른 계좌가 없다면 구독 상품 결제용으로 새 계좌를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해당 계좌에 연결할 체크카드도 현재 사용하지 않는 카드를 활용해도 되고 신규 발급받아 연결할 수도 있다.
신규 발급을 할 경우 1~2만 원가량 캐시백을 제공하는 카드사를 선택하면 더 유리하다.
또한 해외 결제가 가능한 비자(Visa) 또는 마스터카드(Mastercard)로 발급받으면 이전 글인 ‘해외 직구할 때 안전하게 카드 결제하는 방법’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해당 계좌에 1개월 구독료를 송금한 후 구독을 신청하며 결제 수단을 등록할 때 해당 계좌에 연결된 체크카드를 등록하면 된다.
(구독하려는 서비스가 무료 체험인 경우 별도의 송금 없이 카드만 등록하면 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해지 절차를 따로 진행하지 않아도 구독 기간(무료 체험 기간)이 끝난 후 자동 결제 시 잔액이 부족하기 때문에 구독이 자동으로 해지된다.
✅ 이 방법을 쓰면 좋은 점
✔️ 복잡한 해지 절차 없이 간편하게 구독 취소 가능
별도의 해지 절차 없이 자동으로 해지되기 때문에 간편하다.
무료 체험이 아닌 1개월 구독을 하는 경우 구독료를 해당 계좌로 송금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서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대부분의 구독 서비스는 가입은 쉽고 간단하지만 해지는 찾기 어렵고 복잡하게 만들어 놓은 경우가 많다.
(일부 서비스는 심지어 전화로만 해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1개월 구독료를 송금하는 것이 오히려 더 간편할 수 있으며, 자동 결제를 걱정하거나 해지 절차를 신경 쓸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하루 더 무료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일부 구독 서비스에서는 이 방법을 사용하면 구독 종료 후에도 하루 정도 더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2월 28일에 30일 구독을 신청해서 3월 29일 23:59까지 이용이 가능하다면, 이 기간 내에 직접 구독을 해지하면 대부분의 서비스에서는 3월 30일 00:00이 되자마자 이용이 종료된다.
반면에 일부 구독 서비스는 잔고 부족으로 정기 결제가 실패하면 구독이 끝난 날(3월 30일)까지는 이용이 가능하기도 하다.
이는 이용자가 구독을 계속할 생각이 있었는데 일시적으로 잔고가 부족해서 결제가 안 된 것을 기업에서 곧바로 구독을 종료시키면 이용자가 구독이 종료된 김에(또는 기부니가 나빠서) 그대로 이탈할 것을 우려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이 점을 활용하면 하루 더 구독을 이용할 수도 있다.
(기업 시스템을 역이용하는 소비자용 다크 넛지)
0 댓글